본문 바로가기
정책하우

청년정책 취준생 '월 20만 원 지원' 받는 방법!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

by 3percent 2025. 3. 31.

취준생 지원금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

 

안녕하세요! 요즘 취업 준비로 고생 많으시죠? 😃 취준생분들을 위한 정부 지원 제도 중 ‘월 20만 원 지원’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오늘은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도를 소개해드릴게요!

 

개요

  • 대상: 대학 재학생 및 졸업 후 미취업 청년 (만 18~34세, 최종 학력 고등학교 졸업 이하)
  • 제공처: 전국 122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중 60개 센터 (2025년 기준)
  • 지원금: 월 최대 20만 원, 연 최대 100만 원

지원금 제공처대학 확인하기👆

 

주요 지원 내용

취준생 지원금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
ⓒ한국고용정보원 홍보물 출처

  • 1:1 대면 상담: 진로 탐색 및 취업 로드맵 설계
  • 취업 지원 프로그램:
    • 개별 취업 활동계획서(IAP) 작성
    • 온라인 교육 (사이버 진로 교육센터, STEP 등)
    • 오프라인 교육 (자격증 취득, 동문 특강, ‘잠깐 만나 JOB’ 등)
  • 실무 역량 강화: 전산회계, 컴퓨터활용능력 등 자격증 취득 지원

신청 방법 및 절차

  1. 신청 방법: 가까운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
  2. 절차:
    1. 초기 상담 및 진로 준비 진단 (질문지 제공)
    2. 1:1 상담 후 개별 취업 활동계획서(IAP) 작성
    3. 강의 수강 및 인증서 제출 시 지원금 지급

📌 강의를 수강하고 인증서를 제출하면 월 최대 20만 원, 연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지원금 제공처대학 확인하기👆

 

추가 정보

  • 관련 웹사이트: 청년 정책을 더 알고 싶다면 '온통 청년' 누리집 방문을 추천합니다.

온통청년 누리집👆

  • 확대 정책: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청년 고용 정책 연계

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☏ 국번 없이 1350), 고용24(www.work24.go.kr) 이용하기

 

Q&A : 자주 묻는 질문

Q1: 누구나 신청 가능한가요?

A1: 대학 재학생뿐 아니라 졸업 후 미취업 청년도 신청 가능

 

Q2: 지원금 지급 방식은?

A2: 강의 수강 후 인증서를 제출하면 월 최대 20만 원, 연 최대 100만 원 지급

 

Q3: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?

A3: 1:1 상담, 진로 로드맵, IAP 작성, 온라인/오프라인 교육 등

 

Q4: 신청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

A4: 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후 초기 상담 진행

 

Q5: 추가 문의는 어디서?

A5: 온통청년 누리집 또는 해당 센터 담당자에게 문의

 

놓치면 아쉬운 청년 취업 준비 지원 제도

‘취업 준비생 생활안정지원 제도’ 외에도 청년 도약 계좌, 청년 월세 지원, 국민내일배움카드 등 다양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.

 

👉 중복 신청 가능 여부는 제도별로 다르니 확인 후 신청하세요!

 

청년 도약 계좌 신청방법👆

청년 월세 지원 안내👆

청년 월세 지원금
ⓒ한국고용정보원 홍보물 출처

 

마무리

취업 준비는 힘들고 긴 여정이지만, 정부 지원 제도를 똑똑하게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.
놓치지 말고 월 20만 원 지원받아 취업 성공까지 달려가세요! 😊


모두 취뽀하는 그날까지! 💪

지금 바로 가까운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방문하거나 온통청년 누리집을 확인해, 취업 준비에 필요한 체계적인 지원과 혜택을 경험해 보세요!

 

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'온통청년' 누리집을 이용해 보세요!

 

온통청년 누리집👆

온통청년 지원금
ⓒ한국고용정보원 홍보물 출처